분류 전체보기 10

반응기의 정의 및 분류

화학공장에서 반응기 (Reactor) 란 ? 1. 정의1) 원료를 반응기 안에서 목적하는 화학물질로 전환토록 제작된 용기로 반응을 촉진, 통제하여 반응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 계측제어 장치가 부착된 장치이다. 2. 반응기 조작방법에 의한 분류1) 회분식 (Batch) 반응기    - 1회 반응 (반응물질 투입 -> 완료)    - 중소 규모 사업장에서 많이 적용    - 비슷한 반응 공정식으로 파생되어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 공정에서도 주로 적용 2) 연속식 반응기, 연속교반탱크 (Conto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 반응기   - 반응 연속 (반응물질을 지속적 투입)   - 대규모, 조성 변화 일정  3) 플러그(Plug) 흐름 반응기    - 원통형을 관통하면서..

건설공사 법적감리 선임 기준

건축,토목,기계 분야감리대상■ 책임감리 : 발주청 공사 중 총공사비 200억 이상, 22개 공종■ 부분책임 : 전면책임 이외의 발주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공사■ 시공감리 : 발주청 공사 중 총공사비 200억 이하, 22개 공종 및 민간 시행공사 중 다중이용시설(연면적 5천㎡이상, 16층이상)■ 건축감리 : 허가 대상 건축물(신고대상 제외), 20년 이상의 리모델링 바닥면적 합계 3천㎡이상이면서 연속된 5층인 건축물※관련법규 : 건기법 27조, 령 50조 / 건축법 령 11,19조최소감리■ 허가건축물의 연면적 5천㎡미만이고 바닥면적이 85㎡이상이면 비상주■ 연면적 2백㎡미만 3층미만의 대수선 공사시 비상주※관련법규 : 건축법 11조,14조,25조, 령 19조수행대상■ 감리전문회사 : 건기법 감리, 주택감..

화학설비 란?

1. 화학설비 란?     화합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반응시키는데 사용되는 설비로서 혼합, 분리, 저장, 계량, 열교환, 성형, 가공, 분체 취급, 압출, 이송 등에 필요한 장치 ,기계, 기구 및 이에 부속하는 장치 (배관, 계장, 제어, 안전장치 등)를 말하며 그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저장설비 및 계량 설비 : 저장탱크, 계량탱크   2) 분리장치 : 증류탑, 흡수탑, 추출탑   3) 이송 또는 압출 설비 : 펌프류, 압축기, 이젝터   4) 반응 또는 혼합 장치 : 반응기 ,혼합조   5) 분체화학물질 취급장치 : 분쇄기   6) 분체 화학물질 분리장치 : 건조기   7) 열교환기 : 냉각기, 가열기   8) 고로 등 점화기 직접 사용하는 열교환기   9) 화학제품 가공설비..

안전밸브 등의 설치 위치와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1. 설치 위치   (1) 안전밸브 등은 보호대상 용기 등의 상부 기상/증기 공간 또는 기상 / 증기 공간에 연결된 배관에 설치하여야 한다        ( 참조)(2) 열팽창용 안전밸브는 동일공간에 기상부위가 없고 액상만 존재하며, 정상운전 중 유체가 차단되는 경우에 한해 적용한다. 다만, 차단된 상태에서 일광 등에 의해 내부 액체의 체팽창으로 설비의 파손이 우려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한다. ( 참조) 2. 설치 방법(1) 설치대상 용기 등에서 안전밸브 등의 인입 플랜지까지의 인입배관 내에서의 압력 손실은 설정 압력의 3% 이하이어야 한다. 다만, 후단 배관의 자유로운 배출 등을 위하여 안전밸브의 위치를 보호기기 보다 높이 이격시켜 설치할 경우는 안전밸브 전단의 배관직경을 크게 하여 압력손실을 줄일 수 ..

안전밸브/파열판 등은 어디에 설치하는가? 배출용량은 어떻게 산정하는가?

[참고 : KOSHA GUIDE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1. 정의 1)  “안전밸브 (Safety valve)”라 함은 밸브 입구쪽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스프링이 작동하면서 유체가 분출되고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정상 상태로 복원되는 밸브를 말한다. 2) "파열판 (Rupture disc)"이라 함은 “안전밸브에 대체할 수 있는 방호장치”로서, 판 입구측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판이 파열하면서 유체가 분출하도록 용기 등에 설치된 얇은 판을 말한다. 2. 안전밸브 등의 설치 대상    1) 압력용기 (다만, 안지름이 150mm 이하인 압력용기는 제외한다. 관형 열교환기 관(Tube) 의 파열로 인한 압력상승이 동체의 설계압력 또는 ..

GHS / GHS 그림문자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화학물질 분류,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1. GHS 의 구성    1) 명칭 : 물질명    2) 그림문자 : 건강, 물질적 환경적 위험 정보를 빨간색 픽토그램으로 전달    3) 신호어 : 유해, 위험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위험 또는 경고의 해당문구 기재    4) 유해위험문구 : 화학물질 분류에 따라 해당문구 모두 기재    5) 예방조치 문구 : 예방조치 문구가 7개 이상인 경우 예방, 대응, 저장, 폐기 각 1개 이상 포함하여 6개만 표시    6) 공급자 정보 : 공급회사 이름, 주소 및 전화번호 2. GHS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1) 국제적으로 ..

MSDS 2025.02.20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란?

③1.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는 직역하자면 '물질안전보건자료' 입니다.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적 특성, 취급 및 저장방법, 유해성 · 위해성 · 사고 시 대처방법 등을 기록해놓은 서류입니다. 2.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상 물질    화학물질 또는 이를 포함한 혼합물로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것들입니다.   3. 게시 및 비치 장소    ① 대상 물질을 취급하는 작업 공정이 있는 장소    ② 작업장 내 근로자가 가장 보기 쉬운 장소    ③ 근로자가 작업 중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 4. MSDS 작성 항목      5. MSDS 가 변경된 경우, 변경사항을 반영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항목      1) 제품명 (구성성분의 명칭..

MSDS 2025.02.20

석유 산업의 특성

1. 석유 산업이란 ? 석유산업이란 석유(원유와 석유제품을 포괄적으로 지칭)를 대상제품이나 소재로 하는 산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상류부문(Upstream)과 하류부문(Downstream)으로 구분된다. 상류부문은 원유의 탐사·시추·개발·생산까지의 단계를 말하며, 하류부문은 그 이후의 단계, 즉, 원유 수송·정제·석유제품 판매·기타의 단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석유회사들은 상류부문과 하류부문을 망라해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상류부문과 하류부문을 함께 일관조업하는 거대한 석유회사를 메이저(국제석유자본)라고 부른다. 한편 원유의 개발·생산에 참여하지 않고 원유정제·석유제품 판매, 즉 하류부문만의 사업을 정유산업이라고 하며, 이를 경영하는 회사를 정유회사라고 한다.하지만 이러한 영역구분이 모호해 지..

석유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석유 제품의 종류는?

1. 석유의 생성원유(Crude Oil)는 지층에서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가연성 액체로서, 이를 정제하여 만든 제품이 석유제품(Petroleum Products)이며, 원유와 석유제품을 총칭하여 석유(Petroleum)라고 함.  유기성인설에 대해 알아보면 지금부터 수억년전, 땅위에는 공룡이 살고 있던 시절 얕은 바다나 호수에는 플랑크톤이나 조류가 번식하였다. 석유는 주로 물밑에 퇴적된 실체를 이루며 생체안에서 생명력에 의하며 만들어지는 물질 - 유기물 (죽은 수중 미생물)에서 생성되었다고 한다. 우선 죽은 미생물들이 해저에 가라앉으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차례로 쌓이고 겹쳐진 유기물위에 사암과 니암이 뒤덮인다. 그것이 적당한 지압과 지열을 받아 서서히 화학변화를 일으켜 석유가 포함된 석유모암이 형성된다. ..

플랜트 건설이 뭐지? EPC 가 뭐지?

1. 플랜트의 정의1) 플랜트는 복합 학제적 공정을 통하여 투입물로부터 계획된 목적물을 생산하는 통합설비.2) 플랜트 사업의 역무에는 설계, 조달, 시공이 반드시 포함됨은 물론 사업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3) 복합 학제적 공정(multi-disciplinary process): 기계, 전기화공, 재료, 건축, 토목 등 공학기술의 전 분야에 걸친 가공의 과정.4)투입물(input): 천연자원, 자재 가공원료 등 모든 형태의 공정 입력물을 포괄.5) 목적물(output): 제품, 가공물, 변형체, 유틸리티, 부가가치 등 모든 형태의 공정 결과물을 포괄.6) 통합설비(integrated facility): 독립적인 기능을 갖도록 소재, 부품, 단위기계,부분조립체, 계기, 용기, 배관, 구조물 등을 유기적이고 ..